티스토리 뷰

기업가는 조직요소들에 대한 독창적인 사고를 한다.

기업가정신의 개념

경영학적으로 기업가는 일정한 수익을 목적으로 사업을 구상해 시작한 사람을 말합니다. 기업가는 그 사업에 대한 조직화, 방향 설정, 감독의 책임을 가집니다. 한마디로 기업가는 새로운 사업을 일으키며 필요한 자원을 조달하고 조직관리를 하면서 위험을 감수하고 보상을 얻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가적 또는 사회적으로 볼 때 기업가들은 열성적인 노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신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회의 경제활동에 활력을 주고 경제발전의 밑거름이 됩니다. 기업가정신은 강한 도전정신, 성취욕구, 위험 감수, 혁신 추구, 창의성, 추진력으로 특징지어집니다. 기업가정신의 정의는 다양하게 내려지고 있는데, 크게 경제 기능적, 사회심리적, 종합적 견해로 나뉩니다. 경제 기능적 견해는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특성을 고려한 기업가의 기능적 측면을 말하며, 사회심리적 견해는 기업가의 개인적 특성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종합적 견해는 기업가정신을 창조적 활동 과정으로 정의합니다. 이 세 가지 견해들을 고려할 때 기업가정신은 조직의 모든 요소에 대한 창의적 사고를 하며, 자아 욕구 충족을 위해 창조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기업가정신은 자본, 노동, 토지, 정보 못지않게 중요한 생산요소로 여겨집니다.

기업가의 역할

기업가는 조정자, 혁신자, 위험 감수자, 중개자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업가는 창업 과정을 통해 자원을 새롭게 결합하고 새로운 산업 방법으로 균형을 파괴하는 혁신가이다. 경제는 혁신을 통해 창조적 파괴가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발전되어 왔으며 이것을 추진하는 사람이 바로 기업가입니다. 기업가는 낡은 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전통을 창조해 경제발전을 이끕니다. 오늘날 기업가들은 조직 내부의 경영관리를 위해 경영자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경영자 역시 환경변화에 대처하고 기업 내부에 혁신을 일으키기 위해 기업가의 특성을 보입니다. 따라서 기업가와 경영자의 특성은 뚜렷이 구분되기보다는 개인 특성, 과업 특성, 환경 특성 등에 따라 기업가나 경영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기업가의 영향력

기업가정신과 기업가가 자주 화제가 되는 이유는 기업환경의 변화가 극심하고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화되면서 제품과 기술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고 있는 현실에서 기업가가 경제나 사회에 끼치는 영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가정신에 의해 창업된 벤처 비즈니스는 실제로 경제나 사회 부문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진 것으로 인식됩니다. 기업가는 경제활동, 고용 창출, 혁신창조 등의 측면에서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경제발전

슘페터(Schumpeter)는 기업가가 경제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경제발전에 공헌하는 사람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기업가정신은 기업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데 자본과 시간을 투자하는 창업을 통해 고용을 창출하고 의욕적으로 경영활동을 하며 경제성장을 촉진합니다.

고용 창출

기업가는 경제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여 고용기회를 창출하는데 이런 벤처 비즈니스의 고용은 대기업보다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기업이 창출하는 일자리가 40%라면 나머지의 대부분은 벤처기업을 포함한 중소규모의 기업들이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은 여성 인력과 미숙련 노동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혁신창조

혁신가로서의 기업가는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기술을 개발해 시장 소비자들에게 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런 기업가의 혁신적 창조 활동은 사회 각 부문에 영향을 줍니다. 실제로 벤처 비즈니스를 경영하는 기업가들에게 창업한 후에 만족하고 있는지를 문의한 결과, 성공한 사업가들의 63.2%가 창업 후 자신이 지역사회에 공헌했다고 생각하며 28.4%는 성취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기업가 스스로가 창업한 기업이 사회에 공헌한다고 인지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